0

일본 교통카드 분실 후 재발급 받기

패닉이 오고야 말았다. 무려 1만 5천엔짜리 정기권을 잃어 버렸기 때문이다!

일본은 대중교통비가 비싸다. 지역이나 운송 회사에 따라 다르겠지만 약 2km만 가는데도 8~900엔이 나온다. 이마저도 2020 올림픽 때문에 그나마 싸진 편이다.

전철도 사정은 크게 다르지 않는데 집에서 회사까지 약 49분으로 편도요금이 440엔이다. 예를 들어 이동 거리나 시간이 비슷한, 서울 5호선 방화역에서 2호선 사당역까지 1,550원정도인걸 보면 일본이 비싸긴 비싸다.

요즘은 모바일 교통카드를 이용하기도 한다. 신주쿠에서 내가 사는 지역까지 30분거리인데 금액은 242엔 정도.

사정이 이렇다보니 일반 직장인은 물론이고 아르바이트생도 교통비를 지급해주지 않으면 일을 다닐 수 없다. 그나마 정기권이 잘 되어 있어서 정기권을 구매하면 계약 구간내 저렴한 요금내로 갈 수 있기 때문에 필수 중의 필수이다.

그런 정기권을 잃어 버렸다…

#분실 정기권 재발급 받을 수 있다?!

정기권은 보통 IC교통카드이다. 일본 도쿄에서는 SUICA(스이카)나 PASMO(파스모)를 이용하는데 요금도 충전해두었고 심지어 정기권까지 계약해 둔 카드를 어디선가 흘려버렸다 (ㅠㅠ)

이대로… 나의 돈과 정기권이 사라지는가 싶어 걱정하고 있는 찰나에 파트너로 부터 귀중한 정보를 얻었다.

“교통카드 재발급 받을 수 있어!”

유레카! 정말 그랬다. 무려 교통카드를 재발급 받을 수 있었다. 참고로 요금충전기에서 교통카드 발급을 받을 때 이름, 생년월일,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입력하는데 그 정보가 있기에 재발급이 가능한 것이었다.

교통카드 분실재발행정리표. 이걸 가지고 다음날 근처 역으로 가면 된다!

교통카드를 발급 받은 교통기관에 가서 (나의 경우는 세이부철도) 교통카드 분실/재발급 신청을 했다. 간단히 개인정보 및 대략적인 정기권 신청일자, 신분증을 제시하니 다음날 교통카드를 재발급 받을 수 있는 확인증을 주었다. 이 증서를 가지고 다음날 가까운 역에 가서 발급 수수료를 내면 끝! (신청 당일날은 바로 발급이 안되고 다음날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해서 내 손에 들어온 정기권 ㅠㅜ 경우에 따라서는 내가 충전한 요금은 안들어 있을 수도 있다고 했는데 딱 정확히 들어 있었다. 비록 수수료가 들긴 했지만 정기권 값에 비한다면 저렴하지!

재발급받은 교통카드! 이제 잃어버리지 말자 ㅠㅠ

일본에서 정기권이나 교통카드를 분실 했을 경우 당황하지 말자. 재발급 받을 수 있다!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