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으로 통장잔고 앞자리가 3으로 시작했다.
2013년 본격적으로 사회생활을 시작하고나서 어느덧 7년이 지났다. 직장생활과 동시에 매월 ‘월급날’이라는 가장 큰 기념일을 맞이하고 있다. 내 한달과 맞바꾼 가치! 과연 이번달은 얼마나 들어와 있을까?
#드디어 통장 앞자리가 3으로 바뀌었다.
맨처음 내가 받았던 급여는 대략 150만원정도 였다. 입사 3개월차까지는 수습기간이라 급여의 80~90%정도 밖에 안되고 각종 세금이 떨어지고 나가니 이 금액이 들어왔었다. 그래도 뭔가 뿌듯했다. 나도 이렇게 큰(!)돈을 벌 수 있구나 하는 자신감과 함께.
그리고 7년이 지나니 통장에 찍힌 금액이 2배정도가 되었다. 뭔가 기분이 묘했다. 앞자리가 3으로 시작하다니…! 내 가치가 그래도 성장 하고 있구나 하는 왠지 모를 뿌듯함도 느꼈다.

그런데 사실 이 숫자에는 내가 황금연휴 기간에도 출근해서 일 했던 초과근무 수당이 들어가 있다. 이 수당이 없었다면 앞자리는 2에서 멈춘다. 어떤 사람들은 나보다 경력이 더 된다는 이유로 초과근무 없이 앞자리가 매달 3 또는 4로 자연스럽게 시작하는데 나는 그렇게 땀 흘려서 만들었다는게 다소 허무해졌다.

나는 항상 적어도 내 급여보다 3배 이상은 가치를 해야한다고 생각하고 행동하고 또 그만큼의 결과는 내고 있다고 자부한다. 그럼에도 연공서열 중심의 회사들만 거쳐와서 그런지 정말 나는 내 가치 만큼 급여를 받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늘상 퀘스쳔마크가 생긴다. 오히려 나보다 (나이나 사회경력 많은 것 빼고) 잘 모르고 능력 없고 무능한 사람이 더 많은 급여를 가져가는 것은 불공평한 것 같다. 나이나 경력이 많고 적음보다 능력으로 평가를 받는게 오히려 공정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결국 해답은 독립이다.
내 능력에 맞는 소득을 가져가려면 결국 독립이 답인 것 같다. 독립하는 순간 연공서열이건 사회경력이건 그렇게 중요한게 아니게 될 수 있다. 20대에 이미 상장기업 CEO가 된 사례도 존재한다.

그렇다면 내가 가치를 만들고 그것을 시장가치로 환산한 만큼 소득으로 가져오기 위해서는 대기업이나 소득분배 개념이 잡힌 기업에 다니거나 아니면 독립인데 나는 아무래도 독립이 맞는 길인 것 같다.
샐러리맨으로 살아가면서 월급날만큼 기다려지는 날도 없지만 막상 그날이 지나면 다시 허무해지는 것이 일반적. 이런 삶으로 내 인생을 채운다면 너무 우울할 것 같다. 비록 아직은 직원이라는 타이틀로 하루를 살아가고 월급을 기다리고 있지만 조만간 졸업을 해야겠다. 그렇게 나의 가치를 성장시킬 것이다!